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3

2022년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과 신청조건 (금리혜택, 비과세) 2월 21일 청년희망적금이 출시예정입니다. 2022년 자산 형성 지원사업으로 청년들을 위해 현 예적금금리에 4%를 추가해주고 비과세 혜택을 제공 합니다. 청년들에게 좋은 소식이라 생각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어떻게 신청하고 신청조건은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 관련된 내용의 출처는 금융위원회 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 1. 연령 가입일 현재 만 19세이상 만34세 이하 청년 (87년 2월 22일 이후 출생자) 2.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 (21년 1월 ~ 12월 ) 총급여가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가입제한 *금융소득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 @ 직적 과세기간 (21년 1월 ~.. 2022. 2. 2.
알기쉬운 경제용어, 물가는 왜 오를까? 물가가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자본주의 개념, 물가상승) 우리는 소비활동을 합니다. 소비활동이란 돈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입니다. 소비가 없으면 현대사회에서의 삶을 지속하기에는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소비활동이 주춤 되는 시기가 있습니다. 물가가 오를 때입니다. 월급이나 수입은 일정하지만 물가가 오르면 의식주를 영위하기 위해 지출되는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말 필요한 소비가 아니면 안 하게 되는 것입니다. 10년 전 1000원 이하였던 컵라면 가격은 어느새 2000원 언저리를 웃돌고 있습니다.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하는 것일까요? 자본주의 안에서 물가가 떨어질 일은 없을까요? 자본주의 개념 자본주의(Capitalism)의 개념에는 여려견해가 있습니다. 오늘은 통상적으로 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자본주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주의란.. 2021. 12. 26.
알기쉬운 경제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의 종류, 금리인상 이유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린다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금리란 무엇이길래 올리면 물가가 안정된다는 건지 알아보겠습니다.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자율)을 말합니다. 이자는 돈을 빌릴 때 돈을 빌리는 사람에게 내야 할 사용료입니다. 만약 100만 원을 빌리고 나중에 갚을 때 110만 원을 냈으면, 이자는 10만 원 금리는 10/100인 10%입니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많을수록 금리가 높고 빌리는 사람이 적어지면 금리가 낮아집니다. 하지만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서 한국은행에서 물가안정 따위의 이유로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의 종류 기준금리 - 은행(신한,농협,우리,하나)이 대출을 하거나 예금을 해야 할 때 중앙은행과 거래를 합니다. 중앙은행에서 시중.. 2021.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