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도1 주식 경제용어,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뜻과 기준 (개념정리) 주식시장은 미래시장이다. 이 말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반응이 오는 곳이 주식시장입니다. 오늘은 주가가 폭락하거나 폭등할 때 자주 들리는 용어인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에 뜻과 그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킷브레이커 주가 급락 시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주식거래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제도입니다. 서킷브레이커는 두꺼비집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전류가 갑자기 많이 흐르거나 전선에 이상이 생겼을 때 두꺼비집을 내려 전류를 차단하는 거처럼 서킷브레이커의 역할 또한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98년 12월 7일 도입되었습니다. 한국에서의 서킷브레이커는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 전일대비 8% 이상 하락 1분 지속 20분 동안 모든.. 2022. 1.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