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 용어27

주식하기전 알아두면 좋은 경제용어, 주식과 채권은 뭐가 다른거지? 주식이란? 채권이란? 점점 투자에 관심을 갖게 되고 여러 상품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하지만 그 종류는 너무 많고 무슨 상품인지 그 차이점을 알기 어렵습니다. 그중 대표급으로 칠 수 있는 주식과 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둘은 재산가치가 있는 증권으로 둘 다 기업에 투자를 하고 기업은 투자자에게 받은 금액으로 기업을 운영합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다른 주식과 채권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회사를 설립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개인이 회사를 세울 만큼 충분한 자본이 있을 경우 이때는 개인 한 명만으로도 회사를 설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의 회사의 주인은 '개인'입니다. 하지만 개인이 돈을 마련하기 어렵다면? 투자자에게 투자금을 모아 설립한 회사가 바로 '주식회사'입니다. 투자자는 회사에 투자한 만큼 회사의 주인으로서 .. 2022. 1. 5.
주식하기전 알아두면 좋은 경제용어, 삼성전자 배당금으로 알아보는 배당금이란? 삼성전자 배당 계산법 여러분 월배당이라고 아시나요? 월배당을 받을 수 있는 투자에는 부동산과 주식이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로 월세를 받는 거처럼 주식에는 바로 '배당'이 있습니다. 건물주가 월세 받을때 나는 주식으로 배당받고 싶다! 그렇다면 여기서 잠깐! 배당이란 무엇일까요? 배당은 1년동안 기업에 벌어들인 이익중 남는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을 배당해준다고 말합니다. 이 배당을 주식으로 주기도하고 현금으로 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배당을 주는 회사의 주식을 배당주라고 하는것입니다. 배당주에 투자를 하기위해서는 성장성과 안전성을 갖춘 기업인지 분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장기 투자로 배당금을 받고자 할 때 유니버설이나 코카콜라같이 안정적이게 우상향 되는 기업들인지 봐야 되는 것이죠.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 2022. 1. 4.
알기쉬운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물가에 영향을 주는거야? 베네수엘라에서는 지폐에 가치가 떨어질 대로 떨어져서 지폐로 지갑을 만들기도 한다고 합니다. 지갑 하나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지폐로 예전에는 아이폰 하나를 사고도 남았다고 합니다. 베네수엘라는 한때 GDP 세계 4위 경제대국이었습니다. 심지어 원유 보유국으로서 그에 따른 부의 충족이 어마어마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베네수엘라 지폐의 가치가 이렇게 떨어진 것일까요? 인플레이션 개념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물가는 '물건의 가격'입니다. 시중의 파는 물건의 가격을 평균가로 낸 숫자입니다. 수많은 물건들의 가격을 평균으로 내어 지수로 만들어낸 물가지수입니다. 그렇다면 물가는 언제 오르는지 기억나시나요?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자본.. 2022. 1. 3.
알기쉬운 경제용어, 1월부터 고소득자 DSR 적용 DSR이란? DSR개념 연소득 8천만 원 이상이면 내년 1월 3일부터 DSR이 적용됩니다. 금융위원회가 고액 신용 대출을 받은 고소득 가계 차주에게 차주 단위 DSR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1월부터는 총대출액이 2억 원을 넘을 경우, 7월부터는 1억원 이상일 경우 DSR이 적용됩니다. DSR한도는 은행권 40%, 비은행권 60%입니다. 300만 원 이하 소액신용대출을 받아 누적 대출금이 1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예외라고 합니다. DSR이 무엇이길래 고소득층들에게 적용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DSR개념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을 알기 전에 이전에 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었던 DTI(총부채상환비율)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DTI는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으로 A은행에 주택담보대출을 받는다고 가정.. 2021.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