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을 하기위해 경제신문을 보면
필수로 보게되는 단어 공매도
코로나로인해 침체되었던 주식시장에
정부가 공매도 금지조치를 취했었죠.
공매도가 무엇이기에
정부에서 금지를 했던것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공매도
빌(공) 팔(매) 건널(도) : 없는것을 판다
증권(주식,채권)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이익을 기대해 증권을 매도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소유한 기관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일정기간동안 빌린 후
이 주식을 팔아 현금으로 만듭니다.
나중에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면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다시 주식을 구매해
기관에게 돌려줍니다.
이때 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다시 매수하는것은 숏커버링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00만원이었던 주식을
수수료를 지불하고 기관에게 빌립니다.
500만원의 가격으로 주식을 매도해
현금을 보유합니다.
주식의 가격이 300만원으로 하락하면
300만원으로 주식을 다시 구매해
기관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팔 때 와 살 때의 가격차이로
투자자는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 예시로 보면 200만원의 이익을 얻었네요.
하지만 반대되는 경우의 수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만약에 500만원으로 매도한 주식의 기업가치가 올라가거나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어나
주식가격이 800만원으로 올랐다고 하면
300만원의 손실을 보게 되는거죠.
공매도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보유한 증권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주가가 하락하리라 생각해 매도 주문을 하는
'무차입 공매도'
증권을 미리 빌려와 파는
'차입 공매도'
그렇다면 예시로 들었던것은 차입 공매도 겠죠?
무차입 공매도는 투기 세력의 악용될수 있기때문에
일부 예외를 뺴고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공매도는 규모가 큰 거래를 해서
몸집이 큰 기관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쉽습니다.
소액으로 투자하는 개미들에게는 하기 어렵겠죠.
법적으로는 허용하지만 복잡한 규제때문에
더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
공매도를 하는이유
공매도는 주식시장의 거품을 걷어냅니다.
시장의 과열과 폭락을 막기 때문에
주식가격이 정상화 되는것이죠.
너무 과열된 주식판에 파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주가가 더이상 떨어지지 않게 다시 매수를 합니다.
공매도 물량이 시장 유동성을 증가시킵니다.
주식을 대량으로 유통시켜 시장이 활성화 됩니다.
주식 가격이 하락해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주식가격을 폭락시키고
주식시장을 불안하게 만들어
경제위기때는 공매도를 금지시킵니다.
따라서 코로나때 침체된 주식시장에
공매도를 금지한 것이 이해가 되시죠?
하지만 일부기관에 한해서는
예외적으로 공매도를 허용하기도 했습니다.
왜냐면 위의 설명드린거처럼
거품을 걷어내고 시장의 유동성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기관들이
공매도를 일삼아 차별적 조치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정리해보면 공매도는
주식과 채권을 빌려 시장에팔고
가격이 하락하면
다시 되갚아 차익을 얻는
투자방법입니다.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경제용어, 에어드랍이란? 스냅샷이란? (11) | 2022.01.10 |
---|---|
주식 경제용어, 펀드란? 펀드 장점 펀드 위험성 (10) | 2022.01.08 |
주식하기전 알아두면 좋은 경제용어, 환율이란? 환율전망 (9) | 2022.01.06 |
주식하기전 알아두면 좋은 경제용어, 주식과 채권은 뭐가 다른거지? 주식이란? 채권이란? (11) | 2022.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