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창업자인 잭 도시는 암호화폐 업체로 이직하기 위해 CEO 자리를 떠났고 구글 수 로직 채터지 부사장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로 이직을 했습니다. 실리콘 밸리에 있는 빅 테크 경연진과 스타 경영자들이 줄줄이 암호화폐와 메타버스로 이직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12월 20일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앱이 지배하던 테크 시대가 암호화폐와 NFT 같은 크립토(암호) 시대로 바뀌고 있다 전했습니다. 기술과 산업계의 고인력들이 이러한 변화의 순간을 먼저 발견하고 움직이고 있다고도 했는데요.
고인력들이 이직하고있는 메타버스는 무엇인지
메타버스의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 개념
메타(Meta) + 유니버스(Universe)
가상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입니다. 쉽게 말해 가상세계에서 경제나 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 메타버스는 약 30년 전에 등장한 단어라고 합니다.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가인 닐 스티븐슨이 1992년 출간한 소설에 등장했다고 합니다. 소설 주인공이 아바타를 통해 접속해 사회 경제적 활동을 지속하고 빌런들을 물리치는 가상세계 이름이 바로 메타버스였습니다. 컴퓨터로 만들어진 가상현실보다는 한 단계 더 업그레이 된 개념입니다. 3차원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법적으로 인정되는 활동인 직업, 학습, 금융 이 연결된 가상 세계입니다. 스타트업 회사 중에는 실제로 게더 타운으로 출퇴근하는 회사도 있다고 하죠.
메타버스의 핵심은 현실과 상호작용 하는것을 넘어 현실의 기능들을 가상세계에서도 지속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로 팬더믹 시대가 오면서 비대면으로 만나고 소통하는 시대가 더 앞당겨진 거 같습니다.
대표적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선 구찌와 함께 컬렉션을 냈었습니다. 현실에선 몇백만원에 살 수 있던 구찌 제품이 가상세계에선 몇천 원이면 구매가 가능했었죠. 또 블랙핑크가 낸 아이스크림이란 노래를 제페토에서 안무 영상으로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었죠. 해당 영상은 조회수가 1억 명을 돌파했습니다. 또 제페토에서 블랙핑크 버추얼 사인회를 열어서 3천만에 육박하는 유저가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메타버스 전망
팬더믹 시대 후로 메타버스의 확장세가 대단합니다. 지나가는 유행이라고 보기에는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규모가 생각보다 큽니다. 메타버스 게임의 대표주자인 로블록스는 미국 증시 상장 첫날 40조원 이상의 기업평가를 받았고 제페토는 이용자 수가 2억 명을 넘어섰습니다. 현재 거리두기 강화로 많은 사람들이 모이지 못하는 시국에 연말에 이루어지는 행사가 메타버스에서도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뉴욕 타임스 스퀘어 광장에서 열리는 새해 카운트 다운 행사를 오프라인에서는 축소하고 '원 타임스 스퀘어' 소유 기업인 제임스 타운이 메타버스 플랫폼이 VNYE를 출시하면서 새해행사를 메타버스에서 열기로 했습니다. 스퀘어 광장을 돌아다닐 수 있고 미니게임도 즐길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보신각 타종 해사를 메타버스 현장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SKT 메타버스 플랫폼인 '이프랜드'에서 열린다고 합니다. 단순히 현장만 생중계 하는것이 아니라 가상공간에서 활동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기업 송년회, 팬미팅 등 다양한 행사들이 메타버스를 활용해 개최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수요가 늘어나는 시국에 메타버스의 강세는 쉽게 꺼질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오늘은 메타버스의 개념과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내일도 알짜배기 경제지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물가에 영향을 주는거야? (9) | 2022.01.03 |
---|---|
알기쉬운 경제용어, 1월부터 고소득자 DSR 적용 DSR이란? DSR개념 (12) | 2021.12.31 |
알기쉬운 경제용어, 올해 코스피 상승률 한국 G20 국가중 18위 (코스피, 코스닥이란?) (11) | 2021.12.27 |
알기쉬운 경제용어, 물가는 왜 오를까? 물가가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자본주의 개념, 물가상승) (11) | 2021.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