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소비활동을 합니다. 소비활동이란 돈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입니다. 소비가 없으면 현대사회에서의 삶을 지속하기에는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소비활동이 주춤 되는 시기가 있습니다. 물가가 오를 때입니다. 월급이나 수입은 일정하지만 물가가 오르면 의식주를 영위하기 위해 지출되는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말 필요한 소비가 아니면 안 하게 되는 것입니다. 10년 전 1000원 이하였던 컵라면 가격은 어느새 2000원 언저리를 웃돌고 있습니다.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하는 것일까요? 자본주의 안에서 물가가 떨어질 일은 없을까요?
자본주의 개념
자본주의(Capitalism)의 개념에는 여려견해가 있습니다. 오늘은 통상적으로 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자본주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주의란 사회 공동체(국가) 내에서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개인의 권리로 인정하는 것이며 혈연으로 얽힌 것이 아닌 생산수단의 소유로 결정됩니다. 또한 자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기재(화폐, 은행, 투자 등) 들이 존재합니다.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상품 생산이 이루어지고 노동력이 상품화될 수 있으며 모든 재화에 가격이 성립되어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가가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그렇다면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물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사회 내에 풀린 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에 돈의 가치가 하락했고 그 결과 물가가 오르게 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유명가수의 한정판 LP가 전 세계적으로 200장 판매되었다고 하면 가수의 명성이 떨어지지 않는 한 한정판 LP판을 얻기 위해 더 높은 값을 부르며 구매하고자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개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후에 시간이 지나 한정판 LP를 무한정 찍어내게 된다면 더 이상 LP판의 가치는 하락하게 됩니다.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물가가 오른다는 말은 더이상 물건의 가격이 비싸졌다는 말보다는 "돈의 가치가 하락했다"라고 생각하면 물가가 오른 것에 대해 인식하기 더 쉬워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물가를 잡기 위해서 돈의 양을 조절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돈의 양을 조절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자본주의 사회 안에선 돈의 양이 끊임없이 많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월급을 받게 되면 소비를 하게 될 것이고 그 소비한 돈이 시장에 풀리기 됩니다. 그러면 회사에서 무급노 등을 해야 합니다. 돈이 시장에 풀리는 것을 막아야 하니까요. 자본주의 안에서 물가가 내려갈 것이라는 일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일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자본주의 개념과 물가가 오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더 알찬 경제용어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경제보스였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쏙쏙 알려주는 경제용어 더 보러 가기 ▼▼▼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가상화폐-암호화폐-코인
알기쉬운 경제용어, 가상화폐 와 암호화폐 차이점 (가상화폐 개념, 암호화폐 개념, 암호화폐 종
비트코인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죠? 한때 1코인이 8천만원까지 올라갔다가 2천만원으로 떨어졌다가 변동률이 롤러코스터급로 극심헀죠. 이게 뭐길래 이렇게 가격이 올라갔다 내려갔다하는것인
boss-economy-center.tistory.com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빅테크-애플주가전망-빅테크규제
알기쉬운 경제용어, 애플주가 전망에서 보는 경제용어 '빅테크 란?' (빅테크 개념, 빅테크 규제,
애플은 2021년 지난 4분기 동안 매출이 21%,54%,36%,29% 증가하며 좋은 실적을 내보였습니다. 아이폰뿐만 아니라 맥북 M1, 아이패드 미니와 프로등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켜왔습니다. 내년에는
boss-economy-center.tistory.com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경제용어, 메타버스란 메타버스 전망 (빅테크 경연진들이 갈아타는 메타버스) (13) | 2021.12.29 |
---|---|
알기쉬운 경제용어, 올해 코스피 상승률 한국 G20 국가중 18위 (코스피, 코스닥이란?) (11) | 2021.12.27 |
알기쉬운 경제용어, 애플주가 전망에서 보는 경제용어 '빅테크 란?' (빅테크 개념, 빅테크 규제, 빅테크 독점) (12) | 2021.12.25 |
알기쉬운 경제용어, 비트코인은 왜 폭락했을까? 비트코인 채굴, 비트코인 개념, 비트코인 암호화폐 (17)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