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2021년 지난 4분기 동안 매출이 21%,54%,36%,29% 증가하며 좋은 실적을 내보였습니다. 아이폰뿐만 아니라 맥북 M1, 아이패드 미니와 프로등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켜왔습니다. 내년에는 AR/VR 헤드셋과 스마트 글라스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어 내년 주가 상승률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CNBC(미국 경제매체)에 보도된 내용에 시티그룹 애널리스트는 현재 애플 주가는 신제품 출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내년에 가상 증강현실 헤드셋과 스마트 글라스 출시와 루머로 여겨졌던 애플카 역시 10년 내 출시될 것으로 기대하며 목표주가를 170달러에서 200달러로 높여 잡았습니다. 또한 현재 애플 주가에는 빅 테크 규제에 대한 우려가 많이 반영되어있다 하는데요.
빅 테크가 무엇이길래 규제가 들어가고 있는 것인지
빅 테크가 무엇이길래 여기저기에서 말하고 있는 것인지
빅 테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빅테크 (big tech)
Big Data + Technology 합성어
대형 정보 기술(IT) 기업을 뜻하며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합니다. 좀 더 들어가서 살펴보자면 금융서비스와 금융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제공하는 대기업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미국의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구글 등의 대기업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된 단어입니다. 국내 대기업을 예를 들자면 카카오, 네이버가 있습니다. 국외와 국내 모두 빅 테크의 성장세와 확장세가 강력합니다.
빅테크 규제
특히 국내에서는 금융권 쪽에서 빅 테크의 금융 시장 진출이 공정한 경쟁이 아닌 특혜라며 반발이 심합니다. 대기업(예 : 카카오)인 만큼 계열사(예: 카카오페이, 카카오 뱅크)에 제공되는 데이터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한정적인 데이터로 대기업과 경쟁하기에 공평하지 못하다고 느낀 금융권들의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정한 경쟁을 위해 빅 테크에 대한 정부에 규제가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2019년 빅 테크 기업이 프랑스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의 3%를 디지털 서비스세로 부과하는 법안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빅테크기업의 기업인수와 빅데이터로 독점기업화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애플이 새로운 시장인 메타버스로 진출할때 규제에 대한 우려 때문에 투자에대한 고민이 들어가는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빅테크 독점
12월 14일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빅 테크 등 대형 플랫폼의 데이터 독점과 편향적 서비스 제공 등 영업행위에 대해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발언했습니다. 이와 같이 빅 테크의 독점 이슈에 대한 말이 나오는 이유는 아마존과 애플,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빅테크 기업이 문어발 식으로 영향력을 확장해 가며 거래업체에 갑으로 군림하고 경쟁업체의 진입장벽을 높여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확대와 남용을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국제적으로 거세진 것입니다.
오늘은 내년 애플주가전망에대한 이슈를 보면서 빅테크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더욱더 쉽게 경제에 다가올 수 있도록 양질의 경제용어를 제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쏙쏙 알려주는 경제용어 더 보러 가기 ▼▼▼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가상화폐-암호화폐-코인
알기쉬운 경제용어, 가상화폐 와 암호화폐 차이점 (가상화폐 개념, 암호화폐 개념, 암호화폐 종
비트코인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죠? 한때 1코인이 8천만원까지 올라갔다가 2천만원으로 떨어졌다가 변동률이 롤러코스터급로 극심헀죠. 이게 뭐길래 이렇게 가격이 올라갔다 내려갔다하는것인
boss-economy-center.tistory.com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ETF개념-ETF장점-경제용어
알기쉬운 경제용어, ETF란 무엇일까? (ETF개념, ETF장점)
안녕하세요. 누구나 알기 쉽게 경제에 대한 지식을 알려드리는 경제보스 입니다. 오늘은 ETF에 대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 개념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를 말합니다. 인덱스 펀
boss-economy-center.tistory.com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경제용어, 올해 코스피 상승률 한국 G20 국가중 18위 (코스피, 코스닥이란?) (11) | 2021.12.27 |
---|---|
알기쉬운 경제용어, 물가는 왜 오를까? 물가가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자본주의 개념, 물가상승) (11) | 2021.12.26 |
알기쉬운 경제용어, 비트코인은 왜 폭락했을까? 비트코인 채굴, 비트코인 개념, 비트코인 암호화폐 (17) | 2021.12.24 |
알기쉬운 경제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의 종류, 금리인상 이유 (13)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