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용어

알기쉬운 경제용어, 올해 코스피 상승률 한국 G20 국가중 18위 (코스피, 코스닥이란?)

by 경제보스 2021. 12. 27.
반응형

 

 G20개 국가 중 한국의 코스피 지수가 증시 대표지수 중 18위로 그쳤습니다. 공급망 차질과 국내외 악재, 교역 의존도가 높은 탓으로 이유가 분석되었습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코스피는 3012.43으로 지난해 말보다 4.84% 올랐고, G20 가운데 수익률이 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중국(-5.56%)과 브라질(-11.87%)뿐이었습니다.

 

 

 경제신문이나 주식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때면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코스피와 코스닥입니다.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히 무슨 뜻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코스피(KOSPI)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한국 종합 주가지수, 유가증권(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들의 주식가격 변동을 종합 정리해서 수치화시킨 지수입니다.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위 표는 구글에 검색하면 나오는 코스피 지수입니다. 12월 24일 하루 동안 시장의 가격이 어떻게 변했는지 한눈에 볼 수 있죠? 

 

그렇다면 코스피 시장에 상장(주식시장에 회사의 이름이 올라가는 것)되어있는 기업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바이오로직스, NAVER, 셀트리온, LG화학. 현대차, 삼성물산, 현대모비스, 카카오 등이 있습니다. 삼성, SK, LG 대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까다로운 상장 조건에 있습니다.

 

코스피 상장조건 

1. 설립 후 3년 이상 된 기업

2. 자기자본 300억 이상

3. 상장주식이 100만 주 이상

4. 근래 매출액이 1000억원 이상

5. 3년 평균 매출액 700억원 이상

6. 일반 주주 700명 이상 등등

 

이러한 조건으로 오래 사업을 지속할 수 있는 대기업들이 등록되어 있는 것입니다. 

 

코스닥이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자동 시세 통보 시스템을 뜻합니다. 조금 뜻이 이상한데 이는 미국의 나스닥에서 이름을 따와서 그렇습니다. 

 

코스닥은 벤처기업, 중소기업에 안정적인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장 지수입니다. 유가 증권 시장과는 별개입니다. 유가증권시장인 코스피는 1956년 개장되었고 코스닥 시장은 1996년 개장되었습니다. 만들어진 취지에 맞게 새롭게 뜨는 중소기업들이 상장되어있습니다. 또한 상장 조건의 진입장벽이 코스피보다는 낮습니다.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는 좋은 기업들이 있기 때문에 투자에 따른 좋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으나 거짓 정보로 주가조작의 대상이 될 우려가 있으니 신중한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에는 신중한 투자를 해야 합니다.

 

코스닥 시장 상장 조건

1. 설립후 0-3년 된 기업도 가능

2. 소액주주 500명 이상

3. 자기자본 30억 이상

4. 시가총액 90원 이상 등등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

 

 코스피와 코스닥은 별개의 주식시장 지수, 코스피는 한국의 대표 기업인 대기업들이 모여있는 유가증권시장의 지수를 말하며 코스닥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모여있는 코스닥 시장의 주가지수를 말합니다. 또한 코스피와 코스닥에는 상장 조건의 차이로 코스피는 비교적 안정적인 대기업들이 분포하고 있고 변동폭이 적으므로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코스닥에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으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코스피지수를 보며 코스피와 코스닥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차근차근 배워가며 경제를 보는 눈이 넓어지는 구독자 여러분이 되길 기원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쏙쏙 알려주는 경제용어 더 보러 가기 ▼▼▼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자본주의-물가

 

알기쉬운 경제용어, 물가는 왜 오를까? 물가가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자본주의 개념, 물가상승)

 우리는 소비활동을 합니다. 소비활동이란 돈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입니다. 소비가 없으면 현대사회에서의 삶을 지속하기에는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소비활동이 주춤 되는 시기가 있

boss-economy-center.tistory.com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빅테크-애플주가전망-빅테크규제

 

 

알기쉬운 경제용어, 애플주가 전망에서 보는 경제용어 '빅테크 란?' (빅테크 개념, 빅테크 규제,

 애플은 2021년 지난 4분기 동안 매출이 21%,54%,36%,29% 증가하며 좋은 실적을 내보였습니다. 아이폰뿐만 아니라 맥북 M1, 아이패드 미니와 프로등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켜왔습니다. 내년에는

boss-economy-cen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