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린다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금리란 무엇이길래 올리면 물가가 안정된다는 건지 알아보겠습니다.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자율)을 말합니다. 이자는 돈을 빌릴 때 돈을 빌리는 사람에게 내야 할 사용료입니다. 만약 100만 원을 빌리고 나중에 갚을 때 110만 원을 냈으면, 이자는 10만 원 금리는 10/100인 10%입니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많을수록 금리가 높고 빌리는 사람이 적어지면 금리가 낮아집니다. 하지만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서 한국은행에서 물가안정 따위의 이유로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의 종류
기준금리 - 은행(신한,농협,우리,하나)이 대출을 하거나 예금을 해야 할 때 중앙은행과 거래를 합니다. 중앙은행에서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주거나 받을 때 주는 이자율인 기준금리입니다. 쉽게 말해서 은행과 시중은행과의 이자율을 기준금리라 말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같이 가격 폭등이 예상되면 기준금리를 높여 시장에 풀린 돈을 다시 묶는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금리가 높아지니 대출을 받는 사람들이 적어지기 때문이죠. 한국에서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매년 8회 결정합니다.
시장금리 - 다수의 거래자들이 참가하는 시장에서 자금의 수급에의해 결정되는 금리를 뜻합니다. 정책 금리를 제외한 모든 금리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모가 엄마에게 돈을 빌릴 때의 금리도 시장금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신문에서 말하는 시장금리는 콜금리(은행들이 급전을 빌릴 때 금리) , CD금리(은행이 3달 내외로 돈을 빌릴 때의 금리), CP금리(기업이 1년 안에 갚을 돈을 빌릴 때의 금리) , 회사채 금리 (기업이 1년 이상 쓸 돈을 빌릴 때 금리), 국고채 금리 (정부가 3년간 돈을 빌릴 때 보장해주는 금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금리인상 예시
2020년 코로나로 경기가 침체됐을 당시 한국은행은 1.25%였던 기준금리를 0.5%로 내렸습니다. 0.5% 금리를 유지하다 8월말 기준 금리를 0.75%로 올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왜 기준 금리를 인상했을까요? 우선 초저금리 아래 시장에 여윳돈을 오래 푸니 그 돈이 부동산 투자에 몰려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기 때문입니다.결국, 집 값을 안정시키려고 정부가 기준 금리를 올려 돈을 다시 거둬들입니다.
금리인하 예시
2020년초 코로나로 인한 경기둔화에 우려로 한국은행이 11년 만에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습니다. 0.75%인 0%대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3월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 상되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됐다 이로 인해 빚어진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고 성장과 물가에 대한 파급 영향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며 금리인하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이렇듯 금리가 내리면 돈을 빌리는 부담이 줄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기업을 투자의 폭을 넓히고 가계는 소비가 활성화됩니다.
정리하자면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쓰는 사용료이고 경제 상황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합니다. 정부는 경제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설정하여 지정합니다.
오늘은 금리의 뜻과 종류 금리인상과 인하의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았습니다. 앞으로 더 알찬 경제용어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경제보스였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쏙쏙 알려주는 경제용어 더 보러 가기 ▼▼▼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가상화폐-암호화폐-코인
알기쉬운 경제용어, 가상화폐 와 암호화폐 차이점 (가상화폐 개념, 암호화폐 개념, 암호화폐 종
비트코인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죠? 한때 1코인이 8천만원까지 올라갔다가 2천만원으로 떨어졌다가 변동률이 롤러코스터급로 극심헀죠. 이게 뭐길래 이렇게 가격이 올라갔다 내려갔다하는것인
boss-economy-center.tistory.com
https://boss-economy-center.tistory.com/entry/ETF개념-ETF장점-경제용어
알기쉬운 경제용어, ETF란 무엇일까? (ETF개념, ETF장점)
안녕하세요. 누구나 알기 쉽게 경제에 대한 지식을 알려드리는 경제보스 입니다. 오늘은 ETF에 대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 개념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를 말합니다. 인덱스 펀
boss-economy-center.tistory.com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경제용어, 애플주가 전망에서 보는 경제용어 '빅테크 란?' (빅테크 개념, 빅테크 규제, 빅테크 독점) (12) | 2021.12.25 |
---|---|
알기쉬운 경제용어, 비트코인은 왜 폭락했을까? 비트코인 채굴, 비트코인 개념, 비트코인 암호화폐 (17) | 2021.12.24 |
알기쉬운 경제용어, 가상화폐 와 암호화폐 차이점 (가상화폐 개념, 암호화폐 개념, 암호화폐 종류) (13) | 2021.12.22 |
알기쉬운 경제용어, 마이너스 통장은 정말 안좋은걸까? (마이너스 통장 개념, 마이너스통장 장단점) (11) | 2021.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