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용어

주식 경제용어 정리 (기초 경제상식, 경제용어 퀴즈)

by 경제보스 2022. 1. 15.
반응형

 

오늘은 지금까지 알아보았던

경제용어 요약정리와

더불어 퀴즈로

기초 경제상식에 대해

기틀을 다져보겠습니다.

 

 

다음 설명하고 있는

용어가 무엇인지

바로 더보기란에

답을 확인하지 마시고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경제상식을 알아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여러 국가의 암묵적인 동의 아래 국제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하는 통화를 지칭한다.

더보기

기축통화

 

 

2.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 시장에 풀린 돈을 조금씩 다시 거둬들이는 것을 지칭한다.

더보기

테이퍼링

 

 

 

3. 주가 급락시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주식거래를 일시적으로 중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더보기

서킷브레이커

 

 

4. 은행의 재정이나 경영의 문제발생 또는 금융시장의 불안감으로 예금해놓은 돈을 대규모로 인출해나가는 현상을 지칭한다. 

더보기

뱅크런

 

 

 

5. 1년동안 또는 특정 기간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 남는 이익을 가진 지분에 따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것을 지칭한다.

더보기

배당

 

 

 

6. 직역하면 기금이라는 뜻으로 경제안에서는 투자를 해서 돈을 벌기위해 사람들의 돈을 모으는것을 말한다. 자산운용회사를 통해 주식 및 채권에 투자하여 투자수익을 받는 간접상품이다.

더보기

펀드

 

 

 

7. 없는것을 판다는 뜻으로 증권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이 가격이 하락할 것을 예상하여 이익을 기대해 증권을 매도하는것을 지칭한다. 한국에서는 개인이 할수는있으나 하기에는 어렵다.

더보기

공매도

 

 

 

8.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이 지속되면 화폐의 신용도가 떨어져 베네수엘레와 같은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더보기

인플레이션

 

 

9. 원금에 대한이자의 비율을 말한다. 이자는 돈을 빌릴 때 돈을 빌리는 사람에게 내는 사용료로 돈을 빌리는 사람이 많을 수록 이것이 높아지고 빌리는 사람이 적어지면 이것이 낮아진다. 정부정책 아래 물가안정의 이유로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더보기

금리

 

 

10. 서로 다른 통화(달러,엔화,유로 등) 를 미리 확정된 환율에 따라서 일정한 시기에 자금을 상호교환하는것을 말한다. 외환위기 발생시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화를 가져올수 있는 제도이다. 한국은 터키와 이것을 체결하고 리라화 가치 폭락으로 1조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더보기

통화스와프

 

 

 

 

오늘은 지금까지 알아본 경제용어들을

정리해서 퀴즈로 풀어봤습니다.

다들 많이 맞추셨나요?

 

앞으로도 알짜배기 경제상식과 경제지식,

경제정보들로 찾아뵙겠습니다.

2022에는 아는만큼 더 보이고

시야가 넓어지는 성투하는

한 해 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